티스토리 뷰
크레타어 및 그리스어 스크립트
크레타 상형문자는 크레타섬의 유물에서 발견됩니다(기원전 2천 년대 초중반, MM I에서 MM III까지, 가장 이른 시기인 MM IIA의 선형 A와 겹침). 미케네 그리스인들의 문자 체계인 선형 B는 해독이 완료되었지만 선형 A는 아직 해독되지 않았습니다. 겹치지만 서로 다른 세 가지 문자 체계의 순서와 지리적 분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시작 날짜는 최초의 고증을 의미하며, 모든 문자의 기원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됨): 크레타 상형문자는 기원전 1625년부터 1500년까지 크레타 섬에서 사용되었고, 선형 A는 기원전 18세기부터 1450년까지 에게해 제도(케아, 키테라, 멜로스, 테라)와 그리스 본토(라코니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선형 B는 기원전 1375년부터 1200년까지 크레타(크노소스) 및 본토(필로스, 미케네, 테베, 티린스)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인더스 밸리
인더스 문자는 기원전 2600년에서 1900년 사이에 사용된 인더스 계곡 문명(현대의 파키스탄과 북인도에 걸쳐 있음)과 관련된 짧은 기호 문자열을 말합니다. 많은 해독 시도와 주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해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인더스 문자'라는 용어는 주로 기원전 3500년 이후 초기 하라파에서 발견된 몇 가지 징후에서 발전하여 성숙한 하라판 문자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성숙한 하라판 단계에서 사용된 문자에 주로 적용됩니다. 이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이며 때로는 부스트로페도닉 스타일을 따르기도 합니다. 주요 부호의 수는 일반적인 로고그래픽 문자와 음절 문자의 중간 정도인 약 400~600개이므로 많은 학자들은 이 문자를 로고-음절 문자로 간주합니다(일반적으로 음절 문자는 약 50~100개의 부호가 있는 반면 로고그래픽 문자는 매우 많은 수의 주요 부호가 있습니다). 몇몇 학자들은 구조 분석 결과 응집 언어가 문자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페니키아 문자 체계와 후손들
원시 가나안 문자가 처음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원시 시나이 문자는 기원전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페니키아 문자 체계는 기원전 14세기 이전에 원시 가나안 문자를 변형한 것으로, 이집트 상형 문자의 음성 정보 표현 원리를 차용한 것입니다. 이 문자 체계는 자음만 표기하는 특이한 종류의 음절 문자였습니다. 이 문자는 그리스인들이 모음을 표현하기 위해 특정 자음 부호를 변형한 것입니다. 초기 그리스 알파벳의 변형인 쿠마에 알파벳은 에트루리아 알파벳과 그 후손인 라틴 알파벳 및 룬 문자 등을 탄생시켰습니다. 그리스 알파벳의 다른 후손으로는 불가리아어, 러시아어, 세르비아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키릴 문자가 있습니다. 페니키아 문자는 히브리어와 아랍어 문자의 후손인 아람어 문자로도 변형되었습니다.
티피나흐 문자(베르베르어)는 페니키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리비코-베르베르 문자의 후손입니다.
종교적 텍스트
글쓰기의 역사에서 종교적 텍스트나 글은 특별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종교적 텍스트 모음집은 가장 초기의 대중적인 텍스트 중 하나였으며, 일부의 경우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인쇄기를 사용하여 널리 인쇄된 최초의 책은 성경이었습니다.
이러한 텍스트는 사회 결속력, 집단 정체성, 동기, 정당화, 신념을 빠르게 확산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현대인 간의 대규모 전쟁을 지원하거나 가능하게 했습니다.
작문 습득을 촉진하기 위한 현대의 노력
어린이와 성인 모두의 문해력 향상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문 센터와 지역 사회 차원의 문해력 위원회의 출현은 학생과 지역 사회 구성원이 작문 능력을 연마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리소스는 다양한 연령층에 걸쳐 있으며, 각 개인이 자신의 언어를 더 잘 이해하고 글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익혀 사회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윌리엄 J. 패럴의 말을 빌리자면: "사람들이 의사소통에 대해 진지해지면 글로 표현하기를 원한다는 사실을 눈치챈 적이 있나요?"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세계 문해력 재단과 국제 문해력 재단과 같은 프로그램과 글로벌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일반적인 노력의 결과로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